본문 바로가기

도시형생활주택46

준주택 투자 잘 알아보고 하자...[수익형부동산 재테크 전문 블로그] 준주택 투자 잘 알아보고 하자. 수강생 중에 작년에 정년은 맞으신 중학교 선생님이 있는데 이분만의 문제는 아닐 듯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자는 뜻으로 이 분의 투자 사를 답습하지 말자는 뜻을 글의 목적으로 삼았다. (현재 분양 중인 도시형생활주택과 고시원 중에 일부 몰지각한 분양사들의 경우를 예를 삼았고 약간의 각색을 한 것을 전제로 한 것임을 전하고 대부분의 경우는 그렇지 않음을 밝힌다.) 요즘 부동산 시장의 흐름은 우리사회의 산업화가 끝나가는 시점에서 생기는 필연적인 현상을 보는 듯하다. 자산의 상승을 통한 매매차익이 점점 없어지고 임대수익과 부동산 펀더멘탈을 생각하는 투자를 해야 하는 시점이 된 것이다. 또한 고령화와 인구구조의 변화 1인 가구의 급증으로 원룸의 수요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우리의.. 2010. 12. 7.
은퇴자 자산 리모델링…집부터 줄여 상가·원룸 투자하라 [노후대비/정년퇴임투자사업/구미원룸매매/오피스텔매매] 은퇴자 자산 리모델링…집부터 줄여 상가·원룸 투자하라 은퇴자 자산 리모델링…집부터 줄여 상가·원룸 투자하라 대형→소형, 서울→수도권 이사…수익형 부동산으로 '월세수입' 미디어 관련 중소기업에서 간부로 일하다 작년 초 정년퇴직한 김모씨(60).그는 15년 넘게 살아온 서울 성동구 옥수동 43평형 아파트를 작년 8월에 팔았다. 매각대금은 10억원.그러고는 성남 판교신도시 38평형 아파트로 전세(2억원)를 얻어 이사했다. 여유 돈을 만들어 고정 수입원을 확보해야 겠다는 생각에서였다. 전문가 도움으로 그가 구입한 수익형 부동산은 성남 복정역(분당선) 역세권에 있는 14억원짜리 원룸 주택.전세보증금 7억원을 끼고 7억원을 투자했다. 19채 원룸에서 최근 2개월간 월 300만원씩의 월수익을 올렸다. 김씨의 경우처럼.. 2010. 12. 6.
임대부동산 돈 된다 [구미수익형부동산/오피스텔임대사업/구미원룸매매/소액투자임대사업] 임대부동산 돈 된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기업의 구조조정과 명예퇴직 증가로 인해 가계소득은 감소하고, 정기적인 소득없이 노년을 준비해야 하는 어두운 현실에 당면한 세대가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알뜰하게 모아두었던 보유자금에 대한 예금 금리도 계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일본 등 외국의 제로금리까지는 아니더라도 5%이하에서 머물 가능성이 크므로 미래에 대한 자산설계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이자 이상의 안정적인 임대소득과 미래의 시세차익까지 노릴 수 있는 임대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시기적으로도 작년 9월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금이 투자에 적정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상업용부동산이 아닌 주택 임대사업용 부동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임.. 2010. 12. 6.
1~2인 가구를 위한 도시형생활주택 사업전망 1~2인 가구를 위한 도시형생활주택 사업전망 즉, 1인가구수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림 1] 지역별 1인가구 및 도시형 생활주택 [그림 2] 방1개를 쓰는 1인가구 및 도시형 생활주택 1인가구의 특성은 어떠한가? 우선 1인가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주택유형은 다가구주택의 원룸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월세로 거주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1인가구는 다가구주택의 원룸에 61.8%가 거주하고 있으며, 아파트 16.7%, 다세대 9%, 오피스텔 등 비주거용 7.5% 등으로 나타났다. 점유형태는 보증부 월세가 38.9%로 가장 많으며 전세 36.8%, 자가 15.4%, 사글세 1.3% 등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월.. 2010. 12. 3.
도시형 생활주택 `지분 쪼개기` 먹잇감으로 도시형 생활주택 `지분 쪼개기` 먹잇감으로 수십 채로 잘게 쪼개기 쉬워 양평ㆍ망원 등 투기수단 악용 서울시 '면적 제한' 삭제한 탓 서울 양평동4가에 대지 198㎡ 짜리 낡은 단독주택을 사들인 A씨는 지난 7월 이곳에 5층짜리 원룸형 다세대주택 16채의 신축허가를 받았다. 서울시가 이 지역을 초고층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한강변 유도정비구역'으로 개발하겠다고 발표하자 분양권을 더 받기 위해 신축을 통한 '지분 쪼개기'에 나선 것이다. A씨는 지난달 다세대주택을 도시형 생활주택으로 설계를 바꿔 신축 규모를 24채로 늘렸다. 층(2~5층)마다 4개였던 원룸은 6개로 증가했다.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의 주차장 설치기준(세대당 0.2~0.8대)이 다세대주택(세대당 0.7대 또는 1대)보다 느슨했기 때문에 지분.. 2010. 12. 3.
지역에 따라 중소형, 중대형을 선별하여 투자하라 헷갈리는 투자, 중소형이냐? 중대형이냐? 지역에 따라 중소형, 중대형을 선별하여 투자하라 요즘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제일 중요시 하는 것은 타이밍, 지역, 평형, 상품의 선택입니다. 타이밍은 이제 누구나 다 인정하다시피 바닥을 탈피했습니다. 바닥을 탈피해도 어떤 지역, 어떤 평형, 어떤 상품에 투자할까에 대해서는 헷갈리는 부분이 많으실 겁니다. 과거 1980년대 후반부만하더라도 지역에 관계없이 전국의 모든 부동산이 동시다발적으로 올랐지만 2000년대 들어와서부터는 철저히 지역별, 평형별, 상품별로 움직임이 다릅니다. 서울의 경우 1987년 하반기~1989년 상반기까지는 중소형, 1989년 하반기~1991년 상반기까지는 중대형 대세가 있었네요. 2001~2002년은 강남권재건축(소형), 2003~2005년.. 2010.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