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표 관련용어...?
- 월소득대비 주택구입가격비(PIR: Price Income Ratio)
- PIR은 주택구입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소비자가 몇 년치 소득을 저축해야만 대출을 받지 않고 자력으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지를 의미
- 일반적으로 PIR의 계산은 ‘중위가격/중위소득’으로 주택구입 여부와 관계없이 계산될 수 있으나, 본 조사에서는 주택을 구입한 가구(또는 2년내 구입을 희망하는 가구)의 연소득대비 구입주택가격의 비를 가구별로 계산한 후 지역 또는 각 계층별로 구분하여 평균한 값임
- 따라서, 본 조사에서 PIR은 현재 구입한 주택의 가격이 현재 가구 소득의 몇 배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고, 희망가구의 PIR은 향후 2년내 구입하고자 하는 주택가격이 현재 소득대비 몇 배에 해당하는 지를 나타냄
- 주택구입가격 대비 대출액 비율 (LTV : Loan To Value Ratio)
- 내집마련에 있어 주택금융의 역할이 어느 정도인가를 가늠하는 지표로서 LTV가 높을수록 주택금융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출기관이 직면하는 잠재적 채무불이행 위험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도 사용
- 금융감독원 기준 LTV는 대출심사기준으로 적용되는 담보인정비율로서 ‘(대출액 선순위채권 소액임차보증금)/주택담보가격’으로 계산
- 본 조사에서 LTV는 선순위채권이나 소액임차보증금을 고려하지 않고 ‘대출액/주택구입가격’으로 계산. 희망 가구 의 LTV의 경우도 ‘희망대출액/2년내 희망 주택구입가격’으로 계산. 따라서 금융감독원 기준 LTV와는 차이가 있음
- 연소득대비 대출금액비율(DTI: Debt To Income ratio)
- 본 조사에서 DTI는 주택대출금액이 연소득의 몇 %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모기지론 대출심사 기준으로 사용되는 DTI는 월소득대비 월상환금액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조사에서 PTI(Payment ToIncome)와 같음
- 월소득대비 월상환액비율(PTI: Payment To Income ratio)
- 월소득대비 매월 대출상환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한국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심사 기준에 사용되는 DTI와 동일한 지표
- 한계부담율
- 현재의 대출 금액에 대해 실제로 부담하고 있는 상환액이 아니라 현재 및 향후의 가구의 소득 수준을 감안할 때, 가구가 최대한 부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대출상환금액(원금 이자)의 비율임
통계 분류 관련 용어
- 지역
- 서울: 강북(한강 이북 지역), 강남(한강 이남 지역)
- 6대광역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 중소도시 : 5개 신도시와 지방도시
- 5개 신도시 : 성남(분당), 고양(일산), 안양(평촌), 군포(산본), 부천(중동)
- 지방도시 : 용인, 의정부, 수원, 전주, 청주, 원주, 창원
- 가구
-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침 및 생계를 같이 하는 단위를 말하며 보통 일반가구와 집단가구로 구분하는데, 본 조사에서는 일반 가구 중 통상 가족단위로 이루어져 있는 혈연가구 및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
- 가구주
- 본 조사에서 가구주는 호적 및 주민등록상의 호주·세대주와는 관계없이 사실상의 가계 책임자를 지칭
- 주택의 입주형태
- 자가: 본인 및 가족소유 또는 부모의 집에 거주하는 경우
- 월세: 월세에는 일정금액의 보증금을 내고 매월 별도의 세를 내는 보증금부 월세와 집세만 매월 지불하는 순수월세의 방식을 모두 포함
- 기타: 자기 소유의 집은 아니지만 전세, 월세 아닌 경우로서 관사, 사택 또는 아는 사람의 집에 무상으로 살고 있는 경우
- 주택 규모
- 단독주택/다가구주택/전원주택: 건물의 대지 면적과 건물의 각 층이 차지하는 밑바닥의 총 평수인 건평기준으로 응답
- 아파트/공동주택/오피스텔/상가주택인 경우: 공유면적(복도,계단,지하실)과 전용면적을 합한 분양면적을 기준으로 응답
- 주택 구입가격
- 구입가격은 취득세, 등록세와 같은 세금과 이사 비용 등을 제외한 순수한 주택 구입 비용을 의미함
- 금융 자산/부채
- 자산: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을 제외한 금융자산을 모두 포함
- 부채: 금융기관 대출금, 사금융, 친지 차입 등 모두 포함
- 가구 월평균 소득
- 월 평균 소득이란 월급/상여금, 수당과 같은 근로소득과 매달 들어오는 임대 수입 등을 모두 포함한 1년간 총 소득을 12로 나눈 금액을 의미
- 지난 1년간 가구원(배우자, 자녀, 부모, 기타 가족) 전체가 벌어들인 1년간 총 소득액을 12로 나눈 금액